‘한말에 몇키로(kg)일까?’ 자주 쓰는 단위지만 정확히 알기 어려운 질문입니다. 쌀, 떡, 참깨 등 용도에 따라 무게가 달라지므로 단순 환산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전통 단위인 ‘말(斗)’의 의미와 각 품목별 환산 무게를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정리합니다.
[목차]
1. ‘말(斗)’이란? 단위 의미와 기준
‘말(斗)’은 조선시대부터
사용된 부피 단위입니다.
곡물이나 액체류를
측정할 때 널리 쓰였으며,
1말 = 10되입니다.
여기서 ‘되’는
보다 작은 부피 단위입니다.
부피 기준으로 정의되지만,
현대에는 kg(무게)로
환산해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곡물 종류나
습도, 가공 여부에 따라
무게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한말은 몇 kg? 용도별 무게 차이 총정리
곡물마다 밀도와 수분 함량이 달라
한말의 무게도 일정하지 않습니다.
아래는 대표 품목별
1말 기준 평균 무게입니다
품목 | 한말의 평균 무게 |
---|---|
쌀 | 약 18kg |
현미 | 약 17kg |
떡 | 약 22~24kg |
참깨 | 약 7.5~8kg |
콩 | 약 16~17kg |
물 | 약 18L ≒ 18kg |
이처럼 부피는 같아도
내용물에 따라 무게는 큰 차이를 보입니다.
3. 쌀 한말은 몇 kg? 정확한 환산과 활용 예시
일반적으로 ‘백미’ 기준으로
쌀 한말은 약 18kg입니다.
쌀 20kg 포대와 비슷한 크기로
농산물 직거래 시
자주 쓰이는 단위입니다.
현미는 수분 함량이 높아
17kg 내외로 다소 가볍습니다.
도정도에 따라
소폭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구매 시 참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4. 떡 한말은 몇 kg? 쌀과 떡의 무게 변화
떡은 쌀을 불리고,
쪄서 만든 후의 무게입니다.
쌀 한말로 떡을 만들면
완성된 떡의 무게는 약 22~24kg입니다.
물과 공기가 포함되면서
부피와 무게가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찰떡류, 백설기 등도
비슷한 기준으로 볼 수 있습니다.
5. 참깨 한말은 몇 kg? 곡물 중에서도 가벼운 이유
참깨는 밀도가 낮고
씨알이 작아 부피는 크지만
무게는 상대적으로 가볍습니다.
참깨 한말은 약 7.5~8kg 정도로,
쌀보다 절반 이상 가볍습니다.
특히 건조 상태일 경우
더 가벼워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시장 거래 시
1말 단위로 거래되는 경우가 많아
정확한 무게 파악이 중요합니다.
6. ‘되’, ‘말’, ‘가마’ 비교표로 한눈에 정리
전통 단위 간의 관계를
다음 표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위에서 알아보았던
쌀, 떡, 참깨의 1말의 kg 무게입니다.
- 쌀: 약 18kg
- 떡: 약 22~24kg
- 참깨: 약 7.5~8kg
아래는 되,말,가마의 무게입니다.
단위 | 관계 | 환산 무게 (쌀 기준) |
---|---|---|
1되 | 1/10말 | 약 1.8kg |
1말 | 10되 | 약 18kg |
1가마 | 10말 | 약 180kg |
가마니 단위는
쌀 수확량을 말할 때 자주 쓰이며,
현재도 일부 농촌에서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