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달리스트 연금과 정부 포상금 제도를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올림픽 금메달 수상 시 월정금 100만원 또는 일시금 6,720만원 수령 가능한데요, 포상금은 비과세 혜택도 있는거 아셨나요? 바로 아래에서 살펴봅시다!
[목차]
국제대회 메달리스트 연금과 포상금 한눈에 보기
🎯 핵심 요약
(귀찮으시면 이거만 보세요)
- 올림픽 금메달
👉 연금 월 100만원 or 일시금 6,720만원 - 올림픽 은메달
👉 연금 월 75만원 or 일시금 5,600만원 - 올림픽 동메달
👉 연금 월 52.5만원 or 일시금 3,920만원 - 정부 포상금 (비과세)
👉 금 6,300 / 은 3,500 / 동 2,500 (만원) - 연금 선택 가능
👉 매달 받는 월정금 or 일시금 일괄 수령 - 단체전은 75%
👉 개인전 기준 금액의 75% 적용
경기력향상연구연금이란?
메달리스트 연금은
공식 명칭으로 경기력향상연구연금입니다.
은퇴 후 선수의 생활 안정과
경기력 유지를 위한 국가 연금 지원 제도입니다.
지급 방식은 2가지입니다:
- 매달 일정액을 받는 월정금
- 한 번에 받는 일시금 선택
선택은 선수 자유입니다.
단, 한 번 결정하면 바꿀 수 없습니다.
메달별 연금 점수 기준표
대회 | 금 | 은 | 동 |
---|---|---|---|
올림픽 / 장애인올림픽 | 90점 | 70점 | 40점 |
세계선수권 (정식 종목) | 45점 | 25점 | 15점 |
세계선수권 (기타 종목) | 15점 | 10점 | 8점 |
아시안게임 / 장애인아시아경기 | 10점 | 2점 | 없음 |
- 20점 이상부터 연금 수령 가능
- 월 100만원이 상한선입니다
- 110점 초과분은 일시 장려금으로 지급
연금 월정금 vs 일시금 정리
점수 범위 | 월정금 지급액 | 10점당 기준 |
---|---|---|
20~30점 | 10점당 15만원 | 고득점 우대 |
30~100점 | 10점당 7.5만원 | 일반 기준 |
100~110점 | 10점당 2.5만원 | 상한 도달 직전 |
110점 초과 | 일시 장려금으로 지급 | 선택 불가 |
- 예시) 올림픽 금메달 90점 + 정식 세계선수권 금메달 45점
→ 총 135점 → 월 100만원 + 초과점수 25점 일시금 지급
정부 포상금 제도 (문화체육관광부)
연금 외에 별도 포상금도 존재합니다.
비과세로 지급되며, 단체전은 75% 비율로 지급됩니다.
대회 | 금메달 | 은메달 | 동메달 |
---|---|---|---|
올림픽 | 6,300만원 | 3,500만원 | 2,500만원 |
패럴림픽 | 6,300만원 | 3,500만원 | 2,500만원 |
세계선수권 (정식) | 2,000만원 | 1,000만원 | 800만원 |
기타 세계선수권 | 1,000만원 | 500만원 | 300만원 |
아시안게임 | 1,200만원 | 700만원 | 400만원 |
예시) 세계선수권 정식 종목 금메달 1개
→ 포상금 2,000만원 + 연금 점수 45점 (월 45만원 해당)
세금과 기타 보상
- 정부·지자체 포상금 / 연금: 비과세
- 민간·기업·협회 포상금: 기타소득세 22% 원천징수
- 일부 지자체는 별도로 수천만 원 수준의 포상금을 추가 지급